
『순천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살피다』 펴낸곳: 순천문화원 펴낸날: 2021년 12월 30일 지은이: 임동규_(사)정유재란역사연구회 김현정_사회적기업 ㈜두레아트 조근우_(재)마한문화연구원 이명훈 박혜강_예술공간돈키호테 양진석_순천기록문화포럼 후원: 전라남도, 순천시 만든곳: 시너지콘텐츠 출판사
ISBN 979-11-92026-14-5 03090 판형: 170mm*240mm 본문 392쪽 비매품 목차 발행사 격려사 1부. 정유재란과 전라도_임동규((사)정유재란역사연구회) Ⅰ. 전라도는 왜 정유재란의 무대가 되었는가? 12 Ⅱ. 정유재란 침공경로와 정유재란의 종식 23 Ⅲ. 정유재란의 교훈과 과제 52 Ⅳ. 이제, 더 나은 미래의 역사를 만들자 59 2부. 마을 愛 살다-순천 마을 유래와 설화_김현정(사회적기업 ㈜두레아트) 1. 금곡동 청수골 68 2. 남제동 역골 77 3. 삼산동 조비마을 84 4. 서면 판교리 추동마을 88 5. 와룡동 와룡마을 94 6. 낙안면 창녕리 가정마을 97 7. 월등면 신월리 서당마을 101 8. 주암면 오산리 용지(용곡)마을 105 9. 별량면 우산리 간동마을 109 10. 별량면 금치리 금동마을 114 11. 주암면 행정리 사포마을 118 12. 상사면 용암리 용암마을 122 13. 서면 학구리 학구마을 127 14. 낙안면 금산리 신전마을 131 15. 별량면 무풍리 죽전마을 134 16. 상사면 오곡리 연동마을 137 17. 안풍동 수동마을 141 18. 송광면 덕산리 덕동마을 144 3부. 발굴자료로 본 순천의 선사문화_조근우((재)마한문화연구원) Ⅰ 머리말 150 Ⅱ 발굴조사 유적 151 1) 주암댐 수몰지구 유적 151 2) 기타 발굴조사 유적 172 Ⅲ. 순천지역 고인돌의 특징 207 Ⅳ. 순천지역 집자리의 특징 212 Ⅴ. 순천지역 고분의 특징 222 Ⅵ. 맺음말 및 향후과제 232 4부. 순천, 바람과 빛의 기록_이명훈 박혜강(예술공간돈키호테) 1장 바람의 기록 236 1. 순천 바람의 기록 236 2. 사라진 정원의 도시 243 2장 빛의 기록 274 1. 순천, 사진에 박히다 274 2. 일본인 인류학자의 순천조사와 유리건판 사진 284 5부. 순천사람들 이야기-순천지역주민 구술생애사_양진석(순천기록문화포럼) 1. 최종호(퇴직 철도공무원) 307 2. 권종국(여순항쟁 유족회) 315 3. 김대우(순천만 어촌계) 321 4. 윤 자(만학도 시인) 329 5. 정한성(퇴직교사, 성인문해학교 교사) 338 6. 조방훈(주암면 주민자치회) 347 7. 이윤숙(야생화 화가) 354 8. 이정희(순천만국가정원 정원해설사) 362 9. 천세두(아랫장 상인회) 368 10. 최은숙(장애인활동가) 376 편집후기 386 글쓴이 소개 3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