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천학총서 1권, 2권 발행정보 기획 (재)순천문화재단 : 이 책은 (재)순천문화재단의 순천학 총서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순천학총서1 천 년 순천의 근대기 도시 이야기 지은이_우승완 발행 : 2022년 12월 30일 비매품 ISBN 979-11-981327-2-7 순천학총서2 순천을 품은 누정 지은이_김현진 발행 : 2022년 12월 30일 비매품 ISBN 979-11-981327-3-4 글쓴이 소개 우승완 현재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 연구교수로 있다. 『매산등 이야기 백 년 전 순천으로 마실가기』(2008)에 공저자로 참여하였고, 주요 논문으로 「근대 순천의 도시 발전 동인에 따른 도시 변화에 관한 연구」(2009), 「순천 읍성의 토지 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2009), 「광양 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2009), 「질병 공동체 ‘애양리마을’의 형성과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2010), 「일제 강점기 여수의 도시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2011), 「조선 시대 장시 벌교의 도시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2014), 「미국 남장로회 목포, 순천지역 선교기지 조성에 관한 고찰」(2018), 「미국 남장로회 선교기지의 토지 소유에 관한 연구」(2022) 등이 있다. 김현진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연구교수 경상남도 사천 출신이다.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순천지역 누정 제영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순천 지역의 유학자, 누정, 문학, 역사 관련 자료 연구 및 번역을 비롯해 한시를 통한 호남지역 사찰의 문화사를 연구하고 있다. 목차 순천학총서01 천 년 순천의 근대기 도시 이야기 1. 순천의 근대기 도시 역사 2. 천 년의 시간이 담긴 순천 읍성을 백 년 전 시선으로 보다 3. 우리 도시의 그릇, 순천 읍성을 들여다보다(1) 4. 우리 도시의 그릇, 순천 읍성을 들여다보다(2) 5. 순천 읍성 6. 우리가 걸으면 역사로 남는 길 7. 성동초등학교로 거듭난 심상소학교 이야기 8. 잊혀진 학교 이야기 9. 순천 최초의 도시 공원, 환선정 10. 근대 도시 순천을 만든 미국 남장로회 순천 선교부 11. 근대 도시 순천을 만든 안력산병원 12. 근대 도시 순천을 만든 조지와츠 기념 학교 13. 공동체 마을, 애양원이 만들어진 이야기 14. 순천 선교부의 정착과 확산 그리고 건축 15. 최초의 근대 교육 기관, 순천남초등학교 16. 동천에 제방을 쌓다(1) 17. 동천에 제방을 쌓다(2) 18. 조선 시대 장터와 ‘웃장’ 이야기 19. 지방 도회(都會) 순천 20. 도시 사회의 변화 - 기생 21. 도시 사회의 변화 - 극장 22. 도시 사회의 변화 - 산업 23. 순천도립병원 24. 읍성 도시에 상하수도를 놓다 25. 순천 읍영 주택 26. 경전선과 남조선철도주식회사 그리고 오주경편철도 27. 도시 발전의 동인이 된 전라선과 순천 철도 사무소 28. 순천 수해와 피해 복구 29. 신시가지 A, C 지구가 건설되다 30. 순천 동초면이 벌교읍이 된 이야기 31. 순천에서 분리된 여수의 도시 형성과 변화 [ 부록 ] 1. 순천의 도시 발전 동인(動因)과 도시 변화 2. 일제 강점기 여수의 도시 변화 3. 조선 시대 장시 벌교의 도시 형성 과정 순천학총서02 순천을 품은 누정 Ⅰ. 순천 누정 건립 배경 1. 소강남(小江南) 순천 2. 선향(仙鄕) 순천 3. 수죽향(水竹鄕) 순천 4. 귤유향(橘柚鄕) 순천 Ⅱ. 순천 누정 개관 Ⅲ. 순천을 품은 누정 1. 강남 순천을 구현한 연자루(燕子樓) 1) 사랑과 이별 및 수절의 서주 연자루 2) 순천 연자루 내력 3) 순천 연자루 고사 4) 이별의 한 공감과 인생무상의 감회 2. 선향 순천을 투영한 환선정(喚仙亭) 1) 환선정 내력 2) 신선 세계에서 노닐다 3. 문풍 진작의 요람 1) 매계 조위와 임청대(臨淸臺) 임청대 명칭 유래 / 임청대의 내력 / 청유(淸遊)한 선현 예찬 / 진솔회로 동유(同遊)한 선조 회고 2) 한훤당 김굉필과 경현당(景賢堂) 경현당 창건과 옥천서원으로의 변천 / 한훤당의 호남 후학 / 경현당에서 선현을 회상하며 4. 절의와 은거의 표상 1) 5종의 나무 심어 청절을 표상한 오림정(五林亭) 오림정을 창건한 신윤보 / 오림정의 명칭 유래와 의미 / 오림정의 내력 / 청절의 신윤보를 칭송하다 2) 푸른 물결과 맑은 산속 은거지 양벽정(漾碧亭) 양벽정을 창건한 조대춘 / 양벽정 명칭 유래와 내력 / 보성강 가에 단애 펼쳐진 곳의 양벽정 / 강산을 어찌 삼공 지위와 바꾸려 했으리 3) 임금 향해 참배하며 의리를 지킨 망성암(望聖庵) 망성암을 창건한 양신용(梁信容) / 망성암 명칭 의미와 내력 / 이광의 충정과 도연명의 절의를 본받은 충의지사 5. 가문의 명성 계승과 우애 도모 1) 우애로 충효가의 명성을 계승한 상호정(相好亭) 상호정 창건 4형제와 명칭 유래 / 상호정의 내력 / 충효가의 명성 실추하지 않기를 2) 세상의 영욕 잊고 형제애를 다진 담락재(湛樂齋) 담락재 창건과 명칭 의미 / 종일 봄날 같은 형제의 우애 3) 충절의 유풍을 지키며 4형제가 우애한 사휴정(四休亭) 사휴정 명칭 의미와 내력 / 우애하던 그 모습 보여주고 싶어라 6. 은일의 정취를 즐기는 삶 1) 옥천 가에서 청한(淸閒)을 즐긴 반구정(伴鷗亭) 반구정 명칭 의미와 내력 / 기심(機心) 잊고 청한(淸閒)의 삶을 즐기리 / 둘 다 몸과 세상을 잊었네 2) 매화와 은군자(隱君子)를 지향한 매곡당(梅谷堂) 매곡 배숙의 생애와 학문 성향 / 매곡당의 의미와 내력 / 사은(四隱) 교유의 흥취 표출 7. 산수지락(山水之樂)의 흥취를 담다 1) 물아일체를 추구한 영귀당(詠歸堂) 영귀당 의미와 내력 / 봄바람 쐬는 증점의 무우로다 2) 연(蓮)으로 군자를 지향한 연당재(蓮塘齋) 연당재의 의미와 내력 3) 안빈낙도하며 팔경(八景)을 즐긴 만락정(晩樂亭) 만락정 명칭 의미와 내력 / 지팡이 짚고 소요하며 지극한 즐거움을 찾다 4) 폭포로 마음속 때를 씻는 세심대(洗心臺) 세심대의 명칭 의미와 내력 / 마음 씻고 귀 씻음이 얼마나 많았던가 / 혼탁한 들물과 함께 바다로 가리 8. 원림(園林)으로 지정된 누정 1) 물외에서 선조 추모, 강학, 구곡문화를 형성한 초연정(超然亭) 초연정 내력과 명칭 의미 / 옥천조씨 가문의 추원지소(追遠之所) / 연재학파의 동유(同遊)와 강학 / 삼청동(三淸洞) 구곡문화(九曲文化)의 형성 2) 솔과 매화 심어 선조의 유훈을 계승한 송매정(松梅亭) 송매정의 명칭 의미와 내력 / 오봉의 유풍으로 영재와 준걸 많아 9. 사군(思君)과 선정(善政)의식 고양의 공북당(拱北堂) 공북당 명칭 유래와 의미 / 공북당 내력 / 임금을 연모하는 마음 / 역사 속 어진 관리를 본보기로 10. 공동선(共同善) 지향의 향약재(鄕約齋) 향약재 내력 / 향약재의 역할과 의미 <참고문헌>
|